기업부채, 한국 경제의 새로운 뇌관으로..올해 갚을 빚, 52조 급증.. > 기업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기업뉴스 기업부채, 한국 경제의 새로운 뇌관으로..올해 갚을 빚, 52조 급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4-19 12:13

본문

상장사들의 1년 안에 갚아야할 단기차입금이 지난해 52조 원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단기차입금의 증가폭이 경제 위기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올해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미중 갈등 등 경영 불확실성이 커 상장사들의 자금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잉여 현금을 활용하는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밸류업)가 요원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전체 상장사의 지난해 말 기준 단기차입금은 369조 4315억 원으로 2023년 말(317조 4381억 원)과 비교하면 52조 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유가증권시장의 상장사를 중심으로 단기차입금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삼성전자(005930)는 지난해 약 6조 원을 차입했으며, 한화(000880) 약 6조 4000억 원, 삼성SDI(006400) 약 3조 1000억 원, 대한항공(003490) 1조 5000억 원, 두산도 1조 3000억 원의 단기차입금을 끌어다 썼다.


단기차입금의 증가는 통상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단기차입금은 만기가 1년 이내로 짧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 ‘급전’ 성격의 자금으로 해석된다.


당초 예상했던 실적을 내지 못하면서 현금흐름의 차질이 생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기차입금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단기차입금을 늘리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이들의 재무상황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분위기다.


단기차입금이 늘어나게 된 것은 우리 기업들에게 좋은 신호로 볼 수 없다.


유동성 위기에 빠지는 등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다 보니까 단기 차입에 의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단기차입금은 경제 위기 때마다 급격하게 늘어났다.


2021년 말 기준 상장사들의 단기차입금은 239조 4893억 원으로 집계됐는데 2022년 말(282조 3234억 원) 대비 43조 원 가까이 증가했다. 


2020년 말부터 2021년까지 23조 원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1년 만에 단기차입금의 증가 폭이 82.61%나 커진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더욱 두드러졌다.


2007년 말 기준 126조 3614억 원에 그쳤던 단기차입금은 2008년 말 기준 205조 8682억 원으로 집계되면서 1년 만에 80조 원이 치솟았다.


기업들의 재무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부채 관리가 기업의 핵심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부채가 더욱 늘어날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소비·수출 등이 급감하면서 1%대 성장 마저 위태로워졌는데 한국이 위기에 빠졌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에는 가계부채가 문제됐지만 장기 성장 동력이 꺼져가고 있는 가운데 기업부채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뇌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의 부채 관리는 올해에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의 업황이 회복기에 접어들었다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로 그 수요가 꺾일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2차 전지 산업도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저가 밀어내기 물량 공세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사이클을 탄 조선·방산을 제외하고는 미래 먹거리가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


지난해부터 각 기업들은 전사 차원에서 허리띠를 졸라메는 비상 경영에 돌입한 상황이다.


상장사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잉여 자금을 활용한 배당 등 주주환원이 요원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상장사들은 밸류업 공시에도 난색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 달간 27개사가 참여했던 밸류업 공시는 올해 1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기준 밸류업 공시는 4건이며 2월과 3월에는 각각 9건·10건씩 이뤄졌다.


이달 들어서는 한미반도체·동원시스템즈·하나투어가 공시했다.


올해 밸류업 계획을 공시한 기업의 숫자가 지난해 12월 한 달 간 공시한 기업의 숫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선제적인 투자 성격의 자금도 있겠지만 지난해 실적 부진에 따라 차입이 늘어난 측면도 있을 것이다.


잉여현금을 활용해야하는 배당금은 그 규모가 늘어나거나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