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캐나다 "보복 관세" 멕시코 "플랜 B 실행"으로 맞대응..
페이지 정보
본문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하자 캐나다와 멕시코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백악관의 발표 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캐나다가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1550억 캐나다 달러(약 155조 6000억원) 규모의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300억 캐나다 달러 상당의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오는 4일부터, 나머지 1250억 캐나다 달러 상당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21일 후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그는 이어 “우리는 이런 상황을 원하지 않았지만 캐나다는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조만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대화하기 바란다”고 했다.
트뤼도 총리는 이번 관세 문제와 관련해 이미 내각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같은 처지에 있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도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했다.
트뤼도 “캐나다에 대한 관세는 여러분(미국)의 일자리를 위험에 빠뜨릴 것이며 잠재적으로 미국의 자동차 조립 공장과 기타 제조 시설을 폐쇄할 것”이라고 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총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는 불법적이며 양국 모두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과소평가하지만 캐나다 국민에게는 회복력, 강인함이 있고, 우리는 단결되어 있다”고 했다.
멕시코 셰인바움 대통령도 X에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준비해 온 플랜 B를 시행하도록 지시한다”고 했다.
플랜 B의 내용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멕시코 정부가 범죄 조직과 동맹을 맺고 있다는 백악관의 중상모략과 우리 영토에 대한 간섭 의도를 단호히 거부한다”면서 “미국과 멕시코는 포괄적인 방식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두 나라가 미 정부의 관세 부과에 반발했지만 실제 보복을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트럼프가 이날 서명한 행정명령에는 상대국이 미국에 대해 맞대응 조치를 할 경우 관세율을 더 올릴 수 있는 보복 조항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선임고문은 이날 “3개국이 관세에 반발할 경우 관세를 인상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이날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는 25%,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산 제품 중 석유와 가스에 대해서는 10%를 적용하기도 했다.
- 이전글한 번 충전으로 서울 부산 왕복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가 나왔다.. 25.02.02
- 다음글헌재, 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 보류에 대한 위헌여부 내일 결정.. 25.02.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시민단체, 조희대 대법원장 직권남용혐의로 공수처에 고발…
해울그룹 2025-05-03
-
도마에 오른 대법원 졸속재판, 법조계는 물론 사회 각계…
해울그룹 2025-05-04
-
이재명, 접경지역 공약 발표..“평화경제특구 지정, 주…
해울그룹 2025-05-03
-
금성 가려던 구소련 발사 위성 코스모스 482, 지구에…
해울그룹 2025-05-04
-
서초동에 몰려든 시민들, 대법원의 사법쿠데타에 항의 집…
해울그룹 2025-05-03
-
미국,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발효..한국 …
해울그룹 2025-05-03
-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 ‘더민초’, 조희대 대법원…
해울그룹 2025-05-03
-
법학 교수들, '민주적 선거절차 방해한 반헌법적 행위'…
해울그룹 2025-05-04
-
중도층 47%, 차기 대통령으로 이재명 후보 적합하다고…
해울그룹 2025-05-04
-
소비자물가, 넉 달 연속 2%대 상승..1년 전보다 2…
해울그룹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