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저출생 고령화, 2042년 부터 국내 가구수 본격 감소할 전망..
페이지 정보
본문
저출생 고령화로 2042년이면 국내 가구수가 본격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고령 가구주는 30년내 2배 이상 늘어나고 독거노인이 늘면서 1인가구는 2037년이면 전체 가구의 40%를 차지하게 된다.
12일 통계청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2166만 가구였던 국내 총가구는 2041년 2437만 2000 가구까지 증가해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2052년에는 2327만 7000가구까지 감소할 것이라고 통계청은 추산했다.
평균 가구원 수도 줄어든다.
2022년 평균 가구원수는 2.26명이었으나 2052년 1.81명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최근 심화된 결혼·출산 기피 풍조로 1인가구와 자녀없는 부부 가구는 증가할 전망이다.
2022년 기준 1인가구와 부부가구가 각각 34.1%, 17.3%를 차지했는데, 2052년에는 각각 41.3%, 17.4%로 늘어난다.
1인가구는 모든 가구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특히 2037년에는 40.1%로 처음 40%를 돌파하며 10가구중 4가구는 1인 가구가 된다.
2인가구(33.0%)를 합치면 네 집 가운데 세 집꼴로 혼자 살거나 둘이 사는 셈이다.
1인가구는 연평균 7만4000가구씩 증가한다. 2022년 738만9000가구에서 2052년 962만가구로 30년간 200만 가구 이상 불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자녀가 딸린 부부·자녀가구 비중은 27.3%에서 22.8%로 줄어들 전망이다.
가구수도 590만 가구에서 405만 가구로 쪼그라들어 자녀가 없는 ‘딩크족’ 가구수(532만가구)보다도 적어지게 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2052년까지 연평균 1인가구는 7만 4000가구, 부부가구는 5만 3000 가구씩 증가할 전망”이라며 “반면 자녀가 딸린 부부·자녀가구는 연평균 6만 2000 가구씩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가구주 고령화 현상도 예상된다.
65세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 5000가구에서 2052년 1178만 8000가구로 2.3배 증가할 전망이다.
고령자 가구들의 유형별 비중은 2052년이 되면 1인가구(42.1%), 부부가구(34.4%), 부부·자녀가구(7.1%) 순으로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상 독거노인이나 노부부 둘이서 사는 가구가 고령자 가구의 대부분이 될 것이란 뜻이다.
- 이전글인천 소래포구, 이번엔 저울 속임수? 불량저울 사용 61건 적발.. 24.09.13
- 다음글베트남, 슈퍼태풍 '야기' 강타로 최소 179명 숨지고 145명 실종.. 24.09.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민주당 호남권 경선 1위 이재명 88.7%..김동연·김…
해울그룹 2025-04-26
-
서울 코엑스 2층 식당에서 화재, 큰 불 끄고 현재 잔…
해울그룹 2025-04-25
-
SF공상영화가 현실로..우크라 전쟁에 등장한 로봇 무기…
해울그룹 2025-04-26
-
김정은이 자랑하던 평양 53층 아파트, 10년만에 붕괴…
해울그룹 2025-04-26
-
대장동 사건 정영학 회계사, 검찰압박에 의한 진술이었다…
해울그룹 2025-04-26
-
서울고검, 김건희의 자본시장법 위반 항고 사건에 대해 …
해울그룹 2025-04-26
-
문재인 전 대통령,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
해울그룹 2025-04-25
-
'법의 날'에 되새겨 보는 그 한마디..'사람에게 충성…
해울그룹 2025-04-25
-
다시 돌기 시작한 윤석열 김건희 부부의 범죄혐의 사건 …
해울그룹 2025-04-26
-
이재명, 호남을 AI와 미래 모빌리티·금융산업 등 '경…
해울그룹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