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호두협회는 17일 서울 삼성동 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2025 캘리포니아호두 무역회의(California Walnuts trade Meeting)를 개최했다.이날 회의에는 식품제조업계, 베이커리업계, 외식업계, 수입 및 유통업계 등 식품 관련 분야 관계자 70여 명이 참석, 최근 미국의 관세정책과 급변하는 시장상황, 캘리포니아 호두 공급 추이…
맥주 세종(Saison)은 계절을 의미하는 ‘시즌’의 불어 표현이다.특히 ‘맥주를 양조하는 계절’을 뜻한다.시기적으로는 11월에서 3월까지의 겨울이다.온도가 낮아 별도의 온도관리를 하지 않아도 맥주가 만들어지는 시기다.벨기에와 북프랑스 지역의 농부들은 이 때 만든 맥주를 농사철인 봄부터 여름까지 마셨다.우리의 막걸리라고 보면 된다.막걸리가 새벽같이 논일 나…
미국에 수출되는 경상남도 통영에서 생산 된 굴이 노로바이러스 감염 위험에 미국 시장에서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 됐다.미국식품의약국(FDA)이 경상남도 통영에서 제조한 일부 냉동 굴 제품이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 조치에 나선 것이다.FDA는 지난 1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통영에서 생산된 일부 냉동 반 껍질…
비상계엄과 탄핵정국이라는 대내적 상황, 고환율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라는 대외적 변수가 서민 먹거리 물가를 흔들고 있다.국내 식품·외식업계는 줄줄이 가격 인상을 발표하면서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다.최근 5년 소득 하위 20%의 식비 부담은 40% 가까이 늘어났다.삶의 질을 낮추는 먹거리 물가 부담이 끊이지 않는 형국이다.식음료 업계의 가격…
지난해 아이스크림 수출액은 93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K-빙과의 열풍과 함께 아이스크림 시장 경쟁 지형 변화가 일고 있다.18일 삼정KPMG는 ‘다시 웃는 빙과 시장, 새로운 변화는?’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아이스크림 시장이 2024년 103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부터 …
지난해 가공식품 수입량은 650만톤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김치 수입량은 28만7000톤으로 전년보다 9% 증가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건강기능식품 수입은 지난 4년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수입량이 2만4000톤으로 처음 감소했다.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023년 국내로 수입된 식품 등은 165개국에…
풀무원 일본법인 아사히코(Asahico)의 단백질 간편식 ‘두부바’가 현지에서 누적 판매량 7000만개를 돌파하고, 동남아 시장까지 진출했다.아사히코(대표 이케다 미오, 池田 未央)는 일본에서 판매 중인 두부바가 출시 3년 반 만에 7000만개 판매를 넘어서고 올 4월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두부바는 아사히코가 2020년…
파인다이닝급 레스토랑뿐만 아니라 한국의 대중적인 밥상을 대표하는 기사식당, 백반집 콘셉트의 식당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지난 4월 미국 뉴욕 맨하튼에 오픈한 ‘백반전문 기사식당(Kisa)’은 한국의 1980~1990년대 기사식당 분위기를 그대로 재현한 것은 물론 자판기 커피까지 도입해 추억을 소환하며 스토리텔링까지 완벽히 갖췄다.메뉴는 기사식당의 인기…
세계 속에서 한식의 위상을 보여주는 사례는 세계적인 미식 안내서 ‘미쉐린 가이드’와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A50B)’ 등에서의 선전이다.2024년 미쉐린 가이드 뉴욕편에는 무려 11곳의 한식당이 별을 받았고, A50B에도 꾸준히 순위를 높이며 진입하고 있다.지난달에는 강민구 셰프의 밍글스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월드 50 베스트 레스토랑’ …
미국 식음료 트렌드 컨설팅 업체 에이에프앤드코(Af&co)는 2024년 식음료 트렌드 10가지 중 하나로 ‘한식’을 선정했다.네덜란드 식품 산업 업체 ‘푸드바이디자인’도 2024년 주목할 트렌드로 ‘한식’을 선정했다.K-푸드가 식물성, 건강식, 채식 등으로 인식되면서 향후 확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것이다.바야흐로 K-푸드는 지금 해외에서 전성기를 …
지난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과 동일한 120.6포인트를 기록했으며, 품목군별로 유지류, 설탕, 유제품 가격은 상승했으나, 곡물과 육류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농림축산식품부는 “일부 식품 원재료의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식품기업의 경영 부담 완화와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할당관세를 상반기 30개 품목에서 37개 품목(원당·설탕·해바라기씨유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