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5대 은행 주담대 증가율 4.2%, 이달 보름간 3.2조 증가.. > 금융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보험예금 올해 상반기 5대 은행 주담대 증가율 4.2%, 이달 보름간 3.2조 증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7-19 20:34

본문

올해 상반기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16조1629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2.5% 증가했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 목표로 잡은 경상성장률(약 5%)와 비교해 아직 여유가 있다.


다만 최근 주담대를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5대 은행의 상반기 주담대 증가액은 22조2604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2% 늘었다.


특히 2분기에만 15조5057억원 증가했다.


이달에도 1~15일간 3조2325억원 늘었다.


금융당국은 현장점검까지 나서며 가계대출 관리에 나섰다.


당국 압박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례적인 현상도 나타났다.


카카오뱅크의 혼합형 주담대 금리는 3.441~5.676%,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5년 주기형 금리는 3.50~5.43%이다.


올해 초 인터넷은행의 주담대가 몰리자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 중이다.


금리 혼란은 같은 대출 상품 내에서도 벌어진다.


금융당국이 고정금리 대출 비율을 높일 것을 강조하면서 은행권이 변동형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 붙이고 있다.


A은행은 준거금리(신규코픽스)는 변동형이 고정형보다 0.1%P 높지만 실제 금리 하단은 0.7%P가 높다.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일주일새 0.1~0.2%P씩 뛰는 금리가 반갑지 않다. 


주담대는 대출금액이 많고, 만기 기간이 길어 0.1%P에도 이자 차이가 크게 난다. 


5억원을 30년동안 연 3.5%의 금리(원리금균등상환)로 빌렸을 때 총 대출이자는 3억830만원이나 금리가 0.2%P가 뛰면 전체 이자는 약 2000만원 늘어난다.


은행이 대출금리는 올리고 있지만 예금금리는 시장금리에 맞춰 떨어지고 있다.


5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3.35~3.45%로 기준금리보다 낮다.


최근 발행된 1년 만기 은행채의 금리가 3.26%인 상황이라 은행 입장에서는 굳이 더 높은 금리를 주고 예금에서 자금을 조달할 필요성이 낮아졌다.


예대금리차가 벌어지면서 은행권의 이자수익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은행들이 당장에 시장금리를 역행해서 금리를 올리면 단기적으로 가계대출 조절하는 효과는 있겠지만 오랫동안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은행의 책임으로 돌리기에는 당국이 너무 일관적이지 못했다"고 말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