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처리에 대한 기본 지식..
페이지 정보
본문
■ 산재처리
산재처리는 근로자가 일을 하다가 산업재해를 당해 요양에 필요한 비용과 일을 하지 못하는 기간에 대한 급여를 받는 절차입니다.
■ 산재처리 기준
산재 처리 기준은 사고가 산업재해로 판단되어 처리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기준을 법적으로 마련해둔 것입니다.
■ 산재처리 주요내용
▪︎ 산업재해에 대한 입증책임은 산재라고 주장하는 근로자에게 있습니다.
▪︎ 재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고용노동부에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업무상 질병인 경우 산재 승인일 기준 1개월 이내에 처리해야 합니다.
▪︎ 사업주는 산재 처리 기준에 대해 숙지해야 합니다.
■ 산재 처리 절차
▪︎ 재해 발생 후 응급조치를 하고 병원으로 이동하여 치료를 받습니다.
▪︎ 사업장에 재해 발생 사실을 알립니다.
■ 산재 처리와 관련된 팁
▪︎ 하도급자가 보험에 가입된 경우, 하도급자가 산재 처리를 담당합니다.
▪︎ 사업주가 산재 처리에 협조를 하지 않거나 기피하는 경우, 산재 신청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업무상 스트레스로 정신건강이 손상된 경우에도 산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산재처리 후 보상
▪︎ 요양급여 : 4일 이상 치료에 대한 치료비 전액을 지급합니다.
▪︎ 휴업급여 : 평균임금의 70%를 일하지 못한 기간 동안 지급합니다.
▪︎ 장해급여, 유족급여, 장례비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산재보상금 계산
▪︎ 휴업급여 : 평균임금의 70%×산재요양(휴업)일수
▪︎ 상병보상연금 : 평균임금의 100%×중증요양상태 등급별 연금일수
산재 승인 후에는 진찰 및 검사, 약제 또는 진료재료, 의지(義肢)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전글주민센터 휠체어 대여... 25.01.15
- 다음글누룽지의 건강효능... 25.01.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