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智異山, Jirisan, Mt. Jirisan), 해발 1,915m,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 > 여행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국내관광 지리산(智異山, Jirisan, Mt. Jirisan), 해발 1,915m,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7-28 05:41

본문

운무에 덮힌 지리산

▲운무에 덮힌 지리산



지리산은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에 걸쳐 있는 산이다. 


높이는 해발 1,915m로,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이자 부속 도서를 제외한 남한 본토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서, 1967년 12월 29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백두산과 함께 민족의 영산으로 불리는 산이기도 하다.


최고봉은 경상남도 함양군과 산청군에 속해 있는 천왕봉(天王峰)이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3288_1915.jpg
 

천왕봉 이외에도 반야봉, 노고단, 중봉, 바래봉 등 수많은 봉우리가 거대한 산군(山群)을 형성하고 있다.


지리산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산이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구역의 면적은 광주광역시와 맞먹는 크기이다. 


국립공원 관할 구역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지리산 산군으로 묶이는 산들까지 포함하면 그 넓이는 더욱 거대해진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4134_6058.jpg
 

지리산은 예로부터 금강산, 한라산과 함께 한반도 삼신산(三神山)으로 꼽혀왔다.


또한 신라의 오악, 조선의 사악, 대한제국의 오악으로 지정되어 제사를 받는 등 고대 시기부터 명산으로 추앙받아왔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대한민국 5대 명산, 북한까지 포함한 한반도 5대 명산 등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2021년에는 이 산의 이름을 제목으로 한 드라마가 방영되기도 했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3918_1516.jpeg
 

국내 육상 국립공원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지리산답게 산의 면적이 심히 광대하다.


지리산은 행정 구역 상 3개의 광역자지단체에 걸쳐있는데, 지리산을 대표하는 3대봉(천왕봉, 반야봉, 노고단) 또한 3개 도에 각각 속해 있다.


3대봉 중 최고봉이자 제 1봉인 천왕봉(1,915m)이 경상남도 2개 군(산청군, 함양군)에 걸쳐있고, 제 2봉인 반야봉(1,732 m)이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제 3봉인 노고단(1,507 m)이 전라남도 구례군에 속한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4150_1833.jpg
 

지리산은 행정구역 상 3개 도 산하의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 하동군·전라남도 구례군·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까지 총 4군 1시에 걸쳐있다.


국립공원 사무소는 3개 도마다 각각 하나씩 총 세 곳이 있다.


국립공원경남사무소는 산청군 시천면에, 전남사무소는 구례군 마산면에, 전북사무소는 남원시 주천면에 있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3941_0144.jpeg
 

전하는 바에 따르면 지리산(智異山)은 "지혜로운 이인(異人)의 산"이라 한다. 


그러나 문헌상에 智異山, 智理山, 知異山, 地異山, 地理山과 같이 소리는 같되 한자만 다르게 기록되었음을 볼 때, 지리산은 순우리말에서 비롯된 지명이다. 


한국지명학회에 따르면 '지루하다'의 방언인 '지리하다'가 어원이며, 한국학중앙연구회에서는 고대 한국어 지명인 달(達)이 지리, 또는 두류(頭流)로 바뀐 것으로 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백두대간의 맥이 멈추었다고 하여 두류(頭流)라 부른다고 하였다. 


도교의 영향을 받아서 방장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3964_8264.jpeg
 

지리산에는 식물 1,600여 종이 자생하고 반달가슴곰이 85마리 이상 서식하고 있으며, 천왕봉을 주봉으로 수많은 봉우리가 펼쳐져 있다. 


오래 전부터 큰 산으로 유명을 떨친 만큼 역사가 오래된 고찰이 많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때 이성계가 왜구를 토벌한 격전지이기도 하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빨치산의 활동과 이로 인한 역사적 아픔이 있었다. 


고대에서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화재가 지리산에 많이 남았다. 


천왕봉 정상에는 '한국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3306_3797.jpg
 

지리산의 높이가 1,915m와 1,916.77m 두 가지로 혼동되고 있는데,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양군청이 2007년에 실시한 측량결과에 따르면 최고봉인 천왕봉의 높이를 GPS 측량기를 이용하여 측량한 결과, 천왕봉의 높이는 기존의 1,915m보다 1.77m높은 1,916.77m로 확인되었다. 


기사 GPS 측량법은 측량 기준점을 잡는 등 과거의 측량법에 비해 높은 정밀성을 요구하는 측량에 사용되고 있고 정부 또한 GPS 측량법이 과거의 측량법보다 신빙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공식적인 높이는 1,915m이다.


943dbd6fc5931a1752dcb9bcdf47039f_1722113999_3339.jpg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