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붕괴사고 현장 밤샘 수색작업, 아스팔트 제거·굴착 진행하고 구조작업 위한 경사면 확보..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 광명 붕괴사고 현장 밤샘 수색작업, 아스팔트 제거·굴착 진행하고 구조작업 위한 경사면 확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4-14 12:39

본문

광명 터널공사 붕괴 사고 현장

▲광명 터널공사 붕괴 사고 현장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 붕괴 사고로 근로자 1명이 실종된 지 나흘째를 맞는 14일 소방당국이 실종자 수색을 위한 밤샘 작업을 벌였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수색 작업을 재개한 뒤 지난 밤사이 굴착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제거 및 굴착 작업을 했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향후 실종자 구조를 위한 경사면을 확보하기 위해 이 같은 사전 작업을 했으며, 붕괴현장에 걸쳐져 있는 굴착기와 컨테이너 등에 대한 고정도 완료했다.


또 우천에 대비해 토사 유출 방지 작업을 하고, 주변에 있는 H빔 절단 및 불안정한 복강판에 대한 철거를 진행했다.


65fe77bf5c530aafcc86dbf14a0bad59_1744601923_0181.jpeg
 

소방당국은 이날 새벽 비가 내리자 오전 3시 37분 사고 방지 차원에서 전체 작업을 일시 중지했다가 기상 상황이 점차 나아지자 3시간여 만인 오전 6시 30분께 작업을 재개했다.


다만 구조대원들의 지하터널 하부 진입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아직 사고 현장에 위험 요소가 워낙 많아 대원들의 안전을 완전히 확보하기 전까지는 내부 투입이 불가하다는 게 소방당국의 설명이다.


상황판단 회의에 참석한 토목·지질전문가들에 따르면 지반 침하가 계속되고 있어 붕괴의 우려가 완전히 가셨다고도 볼 수 없는 상태이다.


65fe77bf5c530aafcc86dbf14a0bad59_1744601952_9457.jpeg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유관기관 회의를 한 뒤 향후 수색 작업 방식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현재 현장은 사고 초기와 달리 붕괴 지점 앞 도로의 아스팔트를 거의 다 걷어내 황갈색 토사가 드러나 있으며, 주변의 안전 펜스도 일부 제거한 모습이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밤사이 사고 현장의 위험물을 제거하는 데에 총력을 기울였다"며 "구조대원들의 내부 투입은 안전상의 문제로 아직 불가하다"고 말했다.


65fe77bf5c530aafcc86dbf14a0bad59_1744602077_531.jpeg
 

이번 사고는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로 인해 근로자 19명 중 2명이 각각 고립·실종됐는데, 실종됐던 20대 굴착기 기사는 13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남은 실종자 1명은 포스코이앤씨 소속의 50대 근로자로 지하 35~40m 지점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a028a3dcf4b9afd60979aafa1d707ca_1744625839_2549.jpeg


소방당국은 실종자 수색 작업을 지속하다가 지난 12일 오후 3시께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고 보고 지하터널의 하부를 수색하던 구조대원들을 철수시켰다.


이후 유관기관과 회의를 거쳐 하루 만인 13일 오후 2시 10분을 기해 수색 작업을 재개했다.


65fe77bf5c530aafcc86dbf14a0bad59_1744602045_439.jpeg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