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일출봉은 제주도의 다른 오름들과는 달리 마그마가 물속에서 분출하면서 만들어진 수성화산체다.화산활동시 분출된 뜨거운 마그마가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화산재가 습기를 많이 머금어 끈끈한 성질을 띄게 되었고, 이것이 층을 이루면서 쌓인 것이 성산일출봉이다.바다 근처의 퇴적층은 파도와 해류에 의해 침식되면서 지금처럼 경사가 가파른 모습을 띄게 되었다.생성 당…
제주도 대표 호텔들이 객실 요금을 줄줄이 내리고 있다.2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해비치호텔 객실평균단가(ADR)가 전년 동월 대비 7만원가량 하락했다.호텔스컴바인 등 호텔 예약 사이트에는 조식을 제외한 해비치호텔 객실 가격이 평일 기준 20만원대에 나와 있다.제주롯데호텔도 올해 1~3월 ADR이 전년 동기 대비 평균 5%가량 낮아졌다.같은 기간 객실 점…
2025 휴애리 유채꽃축제는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에 위치한 휴애리의 대표 겨울 축제이다.이번 유체꽃축제는 유체꽃밭, 동백정원, 수국온실 등 정성스럽게 키운 다양한 꽃을 공원 곳곳에서 감상할 수 있어 더욱 풍성한 축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제주 겨울을 대표하는 유채꽃과 동백꽃이 가득한 휴애리 유채꽃축제는 웨딩스냅, 우정스냅 등 인생사진 찍기 좋은 장소로 인…
제주 을사년 봄의 시작을 알리는 탐라국입춘굿 '봄, 터졌소이다!'가 펼쳐진다.㈔제주민예총은 오는 20일부터 내달 4일까지 제주시와 서귀포시 일원에서 2025 을사년 탐라국입춘굿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올해 본행사는 내달 2일 거리굿, 3일 열림굿, 4일 입춘굿 순으로 진행된다.앞서 오는 20일부터 내달 1일까지는 소원지 쓰기, 굿청 열명 올리기 및 기원…
제주도 관광을 하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 입소문을 들어 보신 맛집이 있죠.바로 함덕읍 함덕해수욕장에 자리한 "장수상회"인데요.이곳이 제주에서 보말칼국수로 유명세를 떨치며 소문이 자자한 전통 칼국수집입니다.이곳 "장수상회"는 칼국수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으로 지역사회에서도 널리 알려진 맛집입니다.보말은 바닷고둥을 뜻하는 제주 …
이른바 '바가지요금'으로 비판을 받았던 제주도 용두암 근처 불법 노점이 모두 자진 철거됐다.2일 제주시에 따르면 지난달 해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과 공유수면 무단 점·사용 및 무허가 영업으로 적발된 상인들은 용두암 노점을 자진 철거했다.앞서 이곳은 '바가지'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지난 6월 말 유튜버 A씨는 '제주도민도 속수무책 당한 5만원 해산물 바가지…
제주도에 위치한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해발 1,947m)이자 대한민국의 가장 높은 국립공원이다.국립공원 전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그리고 해상 활화산이다.이름을 풀이하면 운한(雲漢: 은하수, 또는 높은 하늘)을 당긴다(拏)는 뜻으로 은하수를 붙잡을 정도로 높은 산이라는 뜻이다.금강산, 지리산과 함께 대한민국 삼신산(三神山) 중 하나로 꼽힌다.…
천혜의 자연, 그리고 아름다운 경관을 품고 있는 섬, 제주도..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생태 여행지를 많이 품고 있는 제주도에서도 성산포는 또다른 특별함이 있는 곳이다.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2010년에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된 성산일출봉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제주의 일출명소로 잘 알려진 성산일출봉 전체와 반경 1km 이내 해역은 희귀 …
제주 중문·대포 해안 주상절리대(濟州 中文·大浦 海岸 柱狀節理帶)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포동에 있는 주상절리 해안이다.이곳은 용암에 의해 형성된 주상절리로서의 그 가치가 높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443호로 지정되어 있다.이곳 주상절리는 서귀포시 중문동 대포동 해안선을 따라 약 3.5km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일반적으로 용암의 표면에는 클링…
제주도를 찾는 외국인 발길이 지속되는 가운데 하락세였던 내국인 방문자 수도 반등하기 시작했다.올해 상반기 제주도 방문객 수는 총 685만8,214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했다.4월부터 내국인 방문객 수도 월간 100만명 이상을 기록해 2분기 방문객 수는 1분기대비 11% 증가했다.제주도관광협회 관광객입도현황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주도 방문…
제주에서 농어촌 민박을 중심으로 문을 닫는 숙박시설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5일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5월 31일까지 휴업·폐업한 도내 숙박시설이 248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이 기간 제주 숙박업소 21곳이 휴업 신고했고 227곳이 폐업했다.연도별 1∼5월 휴업·폐업 숙박시설은 2023년 6곳(휴업 5, 폐업 1),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