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獨島, Dokdo Island) > 사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독도(獨島, Dokdo Island)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7-06 08:30

본문

독도(獨島), 리앙쿠르 암초(영어: Liancourt Rocks)는 동해의 남서부, 대한민국의 울릉도와 일본의 오키 제도 사이에 위치해 있는 대한민국의 섬이다.


독도는 대한민국 동해바다에 위치하며, 동도와 서도를 포함해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산에 의해 형성된 암초이다.


울릉도에서 뱃길로 200리 정도 떨어져 있다.


현재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에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대륙침략의 야욕을 드러내는 일본의 터무니 없는 주장일 뿐이다.


대한민국 주민인 최종덕이 1965년 3월부터 최초 거주한 이래로 김성도 부부 및 독도경비대원 35명, 등대 관리원 2명, 울릉군청 독도관리 사무소 직원 2명 등 약 40명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2005년 동도에 대한 입도 신고제 도입 이후 2021년 4월 기준 약 200만 명이 독도를 방문하였고, 1일 평균 500명이 입도하고 있다.



d6501f12f3e5b58aecdc99175ec2e3f1_1720225817_0482.png
 

■ 명칭


독도는 한국어권에서 주로 쓰이며, 돌로 된 섬이란 뜻의 '돌섬'의 경상도 방언 명칭인 독섬을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쓰면서 독도(獨島)가 되었다.


과거에는 우산도(于山島)라고 부르기도 했다.


독도는 1849년에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선박인 '리앙쿠르 호'의 이름을 따서 리앙쿠르 암초(프랑스어: Rochers Liancourt, 영어: Liancourt Rocks)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 지리 및 지질


이 섬은 동해의 해저 지형 중 울릉분지의 북쪽 경계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 수심 2,000m의 해양 평원에 솟아 있는 화산섬이다.


두 개의 큰 섬인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를 중심으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과 암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도와 서도 사이의 거리는 151m이다.


독도의 총 면적은 187,554m²로, 서도(西島)가 88,740m², 동도(東島)가 73,297m², 그 밖의 암초가 25,517m²이다.


서도의 최고 높이는 168.5m이고, 동도의 최고 높이는 98.6m이다.


2012년 11월부터 대한민국 정부 고시에 의거하여 서도의 최고봉은 '대한봉'(大韓峰), 동도의 최고봉은 '우산봉'(于山峰)으로 부르고 있다.


동도의 최고봉은 1950년대에는 '성걸봉'으로 불렸으며[, 2005년부터 고시 이전까지는 '일출봉'(日出峰)이라 불렸다.


동도와 서도 및 부속 도서는 대부분 수심 10m 미만의 얕은 땅으로 연결되어 있다.


독도의 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섬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87.4 km 떨어져 있으며, 일본 시마네현 오키 제도에서는 약 157.5 km 떨어져 있다.


한반도에서의 거리는 약 216.8km이며, 일본 혼슈에서의 거리는 약 211km이다.


날씨가 좋으면 울릉도 동쪽 해안에서 육안으로 이 섬을 볼 수 있다.


8b9009a697f2b413983b4d4a0d838f63_1720228305_1185.jpg
 

독도는 약 460~250만 년 전에 형성된 해양섬 기원의 화산체로서, 섬 주변에 분포하는 지층들을 아래에서부터 괴상 응회각력암, 조면안산암 I, 층상 라필리응회암, 층상응회암, 조면안산암 II, 스코리아성 층상 라릴리응회암, 조면안산암III, 각력암, 조면암, 염기섬 암맥 등 총 9개의 화산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는 오랜 세월동안 침식되어 화산의 흔적은 찾기 힘들다.


독도(특히 동도)의 지반은 불안정한데, 이것은 단층과 절리, 균열, 그리고 불완전한 공사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독도는 지질학적으로 울릉도의 화산암류와 비슷한 전암 화학조성을 갖는 알칼리 현무암, 조면 현무암, 조면 안산암 및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도의 서쪽에 위치한 서도는 높이 168.5m, 둘레 2.6km, 면적 88,740m² 5필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도에 비해 높이가 높고 면적이 넓지만, 경사가 급한 편이라 필지가 적은 편이다.


d6501f12f3e5b58aecdc99175ec2e3f1_1720228092_1062.jpg
 

■ 자연환경 - 지형


▪︎ 대한봉 (탕건봉)

서도의 정상으로 서도의 북쪽에 위치하여 봉우리 형상이 탕건을 꼭 닮아 탕건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탕건봉 상부는 주상절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는 타포니 형태이다.


▪︎ 삼형제 바위

삼형제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3개의 동굴이 있어 현지 어민들에 의해 불려져 온 명칭이며, 서도에는 속하지 않지만 서도 근방에 위치한다.


▪︎ 상장군바위 (코끼리바위)

코끼리가 물을 마시는 형상의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어 붙여진 명칭이다.


▪︎ 김바위

독특한 모양에 대한 명칭으로 김이 붙어 자라는 바위를 의미한다.


▪︎ 동도

높이 98.6m, 둘레 2.8km 면적 73,297m² 7필지로 이루어진 섬으로. 서도에 비해 높이가 낮고 면적이 좁지만, 둘레가 크고 완만해 필지가 많은 편이다.


▪︎ 한반도 바위

북쪽에서 바라보면 마치 한반도 형상과 꼭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부속도서를 제외한 한반도의 형상이 보인다.


▪︎ 숫돌바위

의용수비대원들이 생활할 당시 칼을 갈았다는 곳으로 바위의 암질이 숫돌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선착장 근처에 노출되는 조면암맥. 차별침식으로 주변의 응회각력암층은 침식되어 없어지고 수면상에 솟아있어 숫돌바위라 일컬으며 주상절리가 거의 수평으로 발달되어 있다.


▪︎ 얼굴바위

사람의 얼굴과 흡사한 독특한 모양으로 현지어민들의 구전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 독립문바위

절리밀도가 높은 해안가에 위치하는 기반암 지대에서 발달한 바위로 아치의 형태가 대한민국의 지도를 닮아서 잘 알려진 곳이다.


▪︎ 천장굴

분화구라고도 하였으나 학계에 의하면 침식에 의해 함몰로 생겨난 동굴로 천장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물오리바위

물오리서식지로서 현지어민들에 의해 불려져 온 명칭으로 물오리는 바다가마우지를 지칭한다.


▪︎ 춧발바위

춧발은 갑, 곶 등이 튀어 나온 곳을 의미하는 현지 방언으로 구전되어온 명칭이다.


▪︎ 악어바위

암석의 측면에서 형성된 풍화혈을 총칭하여 타포니라 한다. 집괴암을 구성하는 작은 역들이 염풍화 작용으로 인하여 기반암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면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에서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96번지에 속하며 우편번호는 40240이다.


대한민국은 이 섬을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울릉군은 국민 공모를 통해 도로명 주소법에 따른 이 섬의 도로명 주소를 '독도안용복길'(서도)과 '독도이사부길'(동도)로 정하였다.


8b9009a697f2b413983b4d4a0d838f63_1720228538_6306.jpg
 

■ 기후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로 연간 평균강수량은 1,240mm 정도이며, 연평균 기온 약 12℃, 1월 평균기온 1℃, 8월 평균기온 23℃로 온난한 편이다.


연평균 풍속은 4.3m/s로 겨울과 봄에는 북서풍이 빈번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남서풍이 빈번하여 계절에 따른 주풍향이 뚜렷하다.


평소 안개가 잦으며 연중 날씨 중 흐린 날은 160일 이상이며, 비 또는 눈 오는 날은 150일 정도로, 겨울철 강수량이 많다.


즉, 일 년 중 맑은 날은 불과 45일 정도뿐이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