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고들빼기
페이지 정보
본문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
▪︎ 학명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 분류 국화과
▪︎ 분포지역 한국 ·일본 ·타이완
▪︎ 서식장소 들
▪︎ 크기 높이 1∼2m, 두화 지름 약 2cm
들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의 바소꼴로 길이 10~30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깃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다.
상처에서 흰 유액(乳液)이 나온다.
꽃은 7∼10월에 피고 많은 두화(頭花)가 원추꽃차례[圓錐花序]에 달리며 노란색이다.
두화는 지름 2cm 정도이고 총포는 밑부분이 굵어지며 안쪽 포편은 8개 내외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뿌리가 있고 갓털은 흰색이다.
한국·일본·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이와 비슷하지만 잎이 갈라지지 않고 바소꼴인 것을 가는잎왕고들빼기(for. indivisa),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배하는 것을 용설채(var. dracoglossa)라고 한다.
■ 산와거(山渦巨)
왕고들빼기의 부드러운 잎이나 새싹을 생식 하거나 식사때 채소 대용으로 먹으면 건위, 강장제가 되고 위궤양, 만성위병에 효과가 좋다. 그러나 너무 많이 먹으면 잠이 많아진다.
■ 약용부위 : 뿌리
■ 채취 및 조제
봄에서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 성분
베타-아미린(β-Amyrin),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게르마니콜(germanicol) 등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및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함유한다.
또한 일종의 고급지방족(高級脂肪族) 알코올(alcohol)도 얻어낸다.
■ 약효
解熱(해열), 凉血(양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炎症性(염증성) 熱(열), 편도선염, 자궁염, 혈붕, 乳腺炎(유선염), 癰腫(옹종), 癤腫(절종)을 치료한다.
줄기나 잎을 달여서 복용하면 熱(열)을 풀 수가 있다. 분말을 바르면 廂瘤(우류-사마귀)를 제거할 수가 있다.
봄 여름 사이 뿌리를 달려 마시면 감기, 해열, 편도선염, 인후염, 유선염, 자궁염, 산후출혈, 종기 따위의 치료에 효력이 있다.
동의학에서는 건위, 소화제, 해열제로 쓴다.
생즙은 진정작용과 마취작용이 있다
■ 용법
말린 뿌리를 1회에 5~10g씩 300ml의 물에 약한불로 반으로 달인 액을 아침 또는 저녁식사 후에 2주정도 마시면 호전된다.
■ 유사종
▶가는잎왕고들빼기 (for.indivisa Hara)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피침형이다.
▶용설채 (var.dracoglossa Kitam.):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재배하고 있다.
- 이전글막걸리 (Makkoli, Makgeolli, マッコリ, 米酒, 马格利, 막 걸러 낸 술) 24.07.10
- 다음글PFV projects 24.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