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白頭山, Baekdoosan, Mt.) > 사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백두산(白頭山, Baekdoosan, Mt.)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10-29 17:00

본문

백두산 전경

▲백두산 전경



백두산(白頭山)은 대한민국(R.O.K)의 이북지역인 북한(북한-중국 국경)에 위치해 있는 화산이다.


중국에서는 창바이산(중국조선어: 장백산, 중국어 간체자: 长白山, 정체자: 長白山, 통용 병음: Chángbái shān)이라 불린다.


한민족에게는 민족의 영산으로 숭앙되어 왔으며, 환웅이 무리 3,000명을 이끌고 제사를 열었다는 '태백산'과 동일시 되기도 한다.


높이는 2,744m(9003ft)이며,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64f4d43144e8ad09d1e6b66ce2820b58_1730189411_6807.jpg
 

산머리가 1년 중 8개월이 눈으로 덮여 있는데다가 흰색의 부석(浮石)들이 얹혀져 있어서 흰머리산이라는 뜻으로 백두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백두산의 최고봉은 장군봉(將軍峰)이다.


2,500m 이상 봉우리는 16개로 향도봉, 쌍무지개봉, 청석봉, 백운봉, 차일봉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대각봉, 녹명봉, 천문봉, 망천후 등 2,500m 미만인 봉우리도 여럿 있다.


정상에는 칼데라 호수인 '천지(天池)'가 있다.


백두산부터 지리산(智異山)까지 이르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은 한반도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한민족에게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되었다.


환웅이 신시(神市)를 열고 단군이 태어난 성지(聖地) 또는 성소(聖所), 성역(聖域)등으로, 여겨서 신성시 되고 있다. 


또한, 백두산은 남만주 북동에서 서남서 방향으로 뻗은 장백산맥의 주봉이기도 하다. 

 64f4d43144e8ad09d1e6b66ce2820b58_1730189768_8738.jpg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2024년 3월 27일, 백두산을 비롯한 18개 후보지를 창바이산으로 세계지질공원으로 새롭게 인증했다.


백두산은 과거 백산, 태백산, 불함산, 개마대산, 장백산 등으로도 불렸는데, 1280년대에 쓰여진 '삼국유사', '제왕운기'에서는 고조선의 건국 신화, 부여, 고구려를 설명하면서 태백산으로 언급하고 있다.


백두산(白頭山)이라는 명칭은 조선 건국 초에 편찬된 '고려사'의 고려 성종 10년(991년)조에 처음으로 문헌에 나타난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주로 백두산이라고 칭하였는데, 장백산(長白山), 백산(白山)이라는 명칭도 간간히 나타난다. 


1962년에 북한과 중국 사이에 체결된 조중 변계 조약과 그 의정서에서도 이 산을 백두산(중국어 간체자: 白头山)이라고 칭하였다.


중국에서는 창바이산(중국조선어: 장백산, 중국어 간체자: 长白山, 정체자: 長白山, 병음: Chángbái shān), 만주어로는 골민 샹기얀 알린(果勒敏珊延阿林, 만주어: ᡤᠣᠯᠮᡳᠨ

ᡧᠠᠩᡤᡳᠶᠠᠨᠠᠯᡳᠨ Golmin Šanggiyan Alin) 또는 골민 샨얀 알린(만주어: ᡤᠣᠯᠮᡳᠨᡧᠠᠨ᠋ᠶᠠᠨ

ᠠᠯᡳᠨ Golmin Šanyan Alin)이라고 부른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