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秋夕, Chuseok) 또는 한가위(Hangawi) > 사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추석(秋夕, Chuseok) 또는 한가위(Hangawi)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14 09:19

본문

추석(秋夕, Chuseok) 또는 한가위(Hangawi)는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행사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의 주요 연휴이자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추석은 농경사회였던 예로부터 지금까지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연중 최대 명절이다. 


가배일(嘉俳日), 한가위, 팔월 대보름 등으로도 부른다. 


가을 추수를 끝내기 전에(조선시대 추수는 음력 9월) 덜 익은 쌀로 만든 별미 송편과 햇과일을 진설하고 조상들께 감사의 마음으로 차례를 지냈다. 


추석에는 일가친척이 고향에 모여 함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전통이 있다. 


이 때문에 해마다 추석이 오면 전 국민의 75%가 고향을 방문하여 전국의 고속도로가 정체되고 열차표가 매진되는 현상이 벌어지는데, 이를 흔히 '민족대이동'이라고 부른다. 


추석은 음력설보다 매출, 인구 이동 등에서 수치적으로 더 높은데, 이는 설날이 양력설과 음력설로 나뉘며, 양력설인 새해 첫날을 쇠는 가정도 있어 수치가 분산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추석의 전날(음력 8월 14일)부터 다음날(음력 8월 16일)까지 3일이 공휴일[1]이지만, 개천절이나 일요일과 겹치면 추석 연휴가 하루 더 늘어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태양절, 광명성절이 공식적으로 명절이다.


추석에는 널뛰기, 제기차기, 강강술래, 윷놀이, 씨름 등의 놀이를 한다. 


보름달에 소원빌기는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이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