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맑고 무더운 날엔 넘쳐나지만 흐린 날에는 '뚝'..변동성 심해.. > 태양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솔라뉴스 태양광, 맑고 무더운 날엔 넘쳐나지만 흐린 날에는 '뚝'..변동성 심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8-25 05:59

본문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올여름 폭염에 이달에만 5차례 최대 전력수요를 경신했다. 


지난 5일 93.8GW을 시작으로 일주일 뒤인 12일(94.5GW)과 13일 (94.6GW) 하루차이로 최고 기록을 깬 데 이어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은 19일(95.6GW)과 20일(97.1GW)에 연이어 최대 전력수요를 세웠다.


통상 공급 예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면 정부는 긴장상태에 돌입하고, 5% 미만이면 비상 대응에 나을 하는데 예비율은 8.5~10.7%를 유지됐다.


태양광은 날씨가 맑은 날 제 역할을 톡톡히 한다.


한낮에 전력사용량이 많은 낮 시간대에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전력 피크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태양광의 경우 전력 당국의 공식 집계에 잡히지 않는 자가수요가 많은데 이것까지 고려하면 여름철 전력 수급 기여가 생각보다 꽤 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름철 전력 피크 시간이 과거에는 한낮인 2~4시였다면 최근 저녁 시간대로 옮겨진 이유가 태양광 때문이기도 하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보통 제일 더운 시간은 2~3시인데 전력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걸 기준으로보면 최대 전력수요 시간은 보통 6시 전후다.


해가 진 시간에 전력수요가 가장 높다는 건 태양광 공급이 줄기 때문이다.


그 점에서 보면 태양광이 가장 무더운 시간 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9일 전력시장 수요와 시장 밖 태양광 발전 수요를 합친 총수요는 102GW에 이르렀는데 이날 오후 2~3시 태양광 출력은 16.5GW로 전체 전력수요의 16.2%를 차지했다.


문제는 날이 흐리거나 비가 올 때다.


바로 다음날인 20일에는 태풍 종다리가 몰려오면서 폭염을 식히기는커녕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돼 전국이 무더워졌다.


하루만에 전력수요 최고 기록을 또 깼는데, 태풍의 영향으로 날씨가 흐려지면서 태양광 발전량이 낮아지면서 수요가 급증한 영향도 컸다.


이날 2~3시 기준 태양광 출력은 전날 같은 시간대보다는 6.2GW 떨어진 10.3GW로 전체 전력수요중 비중은 11.4%로 줄었다. 


이처럼 태양광은 날씨 영향으로 변동성이 크다는게 최대 단점으로 꼽힌다.


태양광의 경우 또 한전 직접구매계약(PPA), 소규모 자가용 태양광 발전 등 '전력시장 외 수요'가 전체 태양광 발전의 2/3 정도를 차지 하기 때문에 수요 예측이 어렵다는 점도 수급 불안의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