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이후 집값 상승세 둔화될 듯..정부정책도 강력한 규제로 선회할 듯.. > 부동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세동향 추석 이후 집값 상승세 둔화될 듯..정부정책도 강력한 규제로 선회할 듯..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17 09:31

본문

추석 이후 연말까지 아파트 매매 거래와 매매가 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정부 정책 방향도 '수요 억제'로 돌아선 만큼, 무리한 매수는 지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17일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한국경제TV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 집값 양극화와 쏠림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수도권에서 전세·매매가격 동반 상승 흐름이 뚜렷하다"고 진단했다.


서울의 경우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신축 물량이나 강남권과 한강변 위주로 고급 유효수요자들의 주택 구매가 많다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 7월 서초구 잠원동 한강변 아파트 '신반포자이' 전용 98㎡는 39억3천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새로 썼다.


이 단지 같은 면적 매물의 직전 거래는 2019년 10월, 28억5천만원이던 것과 비교하면, 10억8천만원이 급등했다.


같은 달 13일에는 동작구 흑석동의 한강변 아파트 '아크로리버하임' 전용 84㎡가 27억5천만원에 손바뀜되며, 지난 3월 세운 직전 최고가 26억보다 1억5천만원 올라 최고가를 경신했다.


다만 추석 이후 거래량 증가세와 매매가 상승세는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통해 과열된 시장 분위기를 냉각시키려는 정부 정책도 현실화되고 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8월4주부터 이달 첫째주까지 3주 연속 상승폭을 줄였다.


지방은 얕은 수요층과 미분양 영향에 현재의 하락세를 이어갈 듯 하다.


시장 회복기에 가격 상승 탄력성이 높은 수도권과는 다르게 지방은 인구의 감소, 미분양 적체 등으로 올해 상황은 썩 좋지 못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만1,822가구로, 이중 지방(5만7,833가구)이 72%를 차지한다.


통상 쌓여있는 미분양 물량은 해당 지역에 신규로 공급되는 신축 아파트의 가격 상승을 제한한다. 지방에서 주인을 찾지 못한 집이 여전히 많은 만큼 급격한 매매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셈이다..


한편, 공격적인 갭투자는 자제해야 한다.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은 여전히 강력한 상황이다.


주택시장의 관심이 역세권·고급 유효수요가 많은 단지·공급 희소성이 있는 지역에만 집중되고 있는 만큼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가 당분간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내년부터 더 강화된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이 예정돼 있고, 다주택자는 생활안정자금 외에는 추가 대출을 받기 어려운 만큼 여신 규제가 본격화될 것을 대비해야 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