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아파트 경매 속출, 집값 하락 직격탄 맞은 인천 주택시장. > 부동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세동향 인천 아파트 경매 속출, 집값 하락 직격탄 맞은 인천 주택시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4-08 13:33

본문

인천 서구 검단 신도시..

▲인천 서구 검단 신도시..



인천 부동산 경매 물건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상승기 당시 몰렸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수요가 집값 하락 국면에서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의 부동산(집합건물·토지·건물)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은 586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4511건) 대비 30% 증가하고 경매건수가 가장 적었던 2021년(2818건)과 비교해서는 108% 급증한 수준이다.


임의경매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원금이나 이자를 3개월 이상 갚지 못했을 때 채권자가 대출금을 회수하기 위해 해당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집값이 뛴 2021년 전후 담보대출로 부동산을 매입했지만 이후 집값은 떨어지고 금리는 올라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결국 경매로 나온것이다.


강제경매도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인천의 부동산 강제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은 6471건으로, 전년(4113건) 대비 57.3% 증가했고, 2021년(3257건)과 비교하면 98.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값이 떨어져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심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세입자들이 전세금을 돌려받기 위해 법원을 통해 임대인의 부동산을 압류하고, 경매로 강제 매각하는 사례가 늘고있는 것이다.


문제는 인천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 말까지 16주 연속 하락했다.


금리 인상, 대출 규제 강화,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전국적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인천은 공급과잉 문제까지 겹쳐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쏟아지는 경매 물건은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채 쌓이고 있는 실정이다.


경·공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2월 인천의 아파트 경매 낙찰률은 33.3%로 전월(36.6%)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