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4.5% 하락하고 수도권도 4.4% 하락,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부동산시장동향’, 정부기관 공식 발표와 ‘딴판’.. > 부동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세동향 서울 아파트 4.5% 하락하고 수도권도 4.4% 하락,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부동산시장동향’, 정부기관 공식 발표와 ‘딴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21 06:00

본문

서울 아파트 전경

▲서울 아파트 전경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랐다는 정부기관의 공식 발표와 달리, '가격이 하락했다'는 통계가 민간협회에서 나와 부동산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민간협회와 정부기관의 조사 방식 차이에 따른 결과라는 설명이지만, 부동산 업계 일각에선 민간 조사가 시장 상황을 더 빨리 반영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20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부동산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달 전보다 1.9% 하락했다.


특히 서울은 4.5% 내렸으며, 수도권은 4.4%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의 경우 0.7% 하락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는 20.9% 급등했으며 △광진구(5.6%) △중구(2.0%) △강동구(1.6%) △성북구(1.1%) △성동구(1.0%) 등은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강서구 21.9% △종로구(-18.0%) △서초구(-11.5%) △도봉구(-8.4%) △서대문구(-6.8%) △영등포구(-6.5%) 등은 크게 하락했다.


이번 통계 결과는 정부 기관 공식 발표와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전날 '8월 전국 주택가격동향 조사' 발표를 통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전월 대비 1.27% 올라 2018년 9월 이후 71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수도권 아파트 매매 가격도 0.75% 상승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통계는 앞서 나온 정부기관의 발표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는 통계 방식 차이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아파트 매매가격을 지수화하지 않고, 월별로 실제 거래된 아파트의 평균 가격 변화를 반영해 분석한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부동산원의 방식에 따른 시장 분위기가 통계에 반영되는 속도가 조금 느리다"면서 "다른 기관 통계들도 다음 달에는 비슷한 분위기가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부동산 통계는 같은 단지, 같은 평수를 놓고 비교해야 하며 매매가격뿐만 아니라 매매 거래가 가능한 가격, 호가 등도 반영해 통계 처리가 돼야 신뢰성이 있는 통계가 된다"고 반박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