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대출규모 1120조 넘어..경기부진에 연체율 급증 추세..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 자영업자 대출규모 1120조 넘어..경기부진에 연체율 급증 추세..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1-29 13:25

본문

경기부진에 빈 상가 급증..

▲경기부진에 빈 상가 급증..



지난해 3분기 기준, 자영업자(336만9000명)의 대출 규모는 1123조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 대출 규모가 1120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특히 3개월 이상 연체된 상환 위험 차주(대출자)는 14만6000명에 달했다.


2023년 3분기(10만3000명)와 비교하면 1년 새 41.8%나 불어났다. 


이들 위험 차주가 보유한 대출액도 같은 기간 21조6000억원에서 29조7000억원으로 37.5% 늘었다.


30조원에 육박한 자영업자 대출이 상환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뜻이다.


경기 부진에 빚을 돌려막는 한계 차주도 빠르게 늘었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지난해 3분기 기준 172만명으로, 전체 대출자 중 절반 이상(51.1%)을 차지했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연체 차주는 9만7000명, 이들이 보유한 전체 대출은 23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보다 각각 29.3%, 29.8% 늘었다.


이는 한국은행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매일경제가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받은 한국은행의 ‘시도별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대출 규모’ 데이터에 따르면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 자영업자 대출잔액은 753조8000억원(2분기 기준)으로 최근 1년 새 9조9000억원 늘었다. 역대 2분기를 통틀어 최고 수준이다.


빚 돌려막기를 해도 갚지 못하는 돈 역시 크게 늘었다.


다중채무자 연체액(13조9000억원)과 연체율(1.85%)은 모두 2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내수 부진 속도가 가팔라지며 다중채무자 빚은 좀처럼 줄지 않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 이후 간담회에서 “지금은 통화정책 외 추경(추가경정예산)이 필요하다”며 “추경은 어려운 자영업자를 타깃으로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부실 차주는 비수도권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서울 지역 다중채무자 비중은 지난해 21.8%에서 올해 21%로 소폭 줄었지만 경기도는 26.5%에서 27.2%로 늘었다. 


경북은 3.9%에서 4%로, 경남은 5.2%에서 5.5% 증가했다.


이대로 내수 부진이 계속된다면 자영업자 수요 기반이 무너지고 연체율이 높아져 경제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