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음하는 한국경제, 윤 구속으로 내적 불확실성 해소..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 신음하는 한국경제, 윤 구속으로 내적 불확실성 해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1-19 08:09

본문

인천 중구 인천 선광남항 야적장에 수출 대기 중인 컨테이너

▲인천 중구 인천 선광남항 야적장에 수출 대기 중인 컨테이너



한국 경제가 내적불확실성으로 탄핵정국, 외적 불확실성으로 트럼프 2기 출발에 따른 국내외적 악재로 신음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둔 외환시장 역시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분위기다. 


지난해 11월 1,400원 부근에 머물던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치솟은 근저에는 국내의 비상계엄 악재, 글로벌 강달러 요인이 섞여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환율 상승폭 가운데 50원가량은 글로벌 강달러 요인, 나머지 20~30원은 비상계엄 충격으로 각각 분석하기도 했다.


탄핵정국의 정치 불안이 확대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가 관세장벽 높이기에 속도를 낸다면 원/달러 환율에는 추가적인 상승 압력이 불가피하다.


단기적으로 1,500원을 뚫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워 보인다.


절대적인 환율 수준 못지않게 변동성 확대도 경계할 대목이다. 


보편관세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면서 달러 강세를 이끄는 요인이지만, 정작 트럼프 당선인은 약달러 정책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모순적인 정책조합 탓에 달러화의 변동성이 증폭될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달러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해 1985년 플라자합의와 같은 소위 ‘마러라고 합의’를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도 비중 있게 거론된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은 “취임식을 하면서 트럼프의 입에서 어떤 발언이 나올지 감을 잡을 수 없다 보니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져 있다”며 “하방보다는 상방 압력이 7대3, 8대2 정도로 더 높아 보인다”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2기 대응은 종국적으로 ‘정상급 빅딜’을 통해 접근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많다.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대미 경제외교에 전방위 채널을 가동하고 있지만, 대통령 리더십 공백인 한국 경제로서는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최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우리 외교는 미증유의 국내 정치적 갈등 상황으로 인해 손발이 묶여있는 형국”이라고 우려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권한대행 주도의 범정부 차원에서는 일차적으로 대외신인도를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국제금융협력대사에 최종구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국제투자협력대사에 최중경 전 금융위원장을 각각 내세운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이 ‘트럼프 2기’의 일차 타격권에서 다소 빗겨나 있는 흐름은, 대응시간 확보가 절실한 우리로서는 그나마 위안으로 삼을 대목이 될 수 있다.


송영관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당선인이 덴마크령 그린란드 매입, 파나마 운하 통제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문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개정 같은 거대한 이슈들을 던져놨다”며 “너무 큰 사안들이어서 당장은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 같다”고 전망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