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연 3.0%로 유지..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 회의실에서 올해 첫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0%로 유지했다.
앞서 한은은 2021년 8월(0.5→0.75%)을 시작으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시작했다.
이 때부터 두 차례 빅스텝(한 번에 0.5%p 인상)을 포함해 총 10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연 3.5%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운용했다.
이후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0.25%p 낮추며 인하 사이클에 돌입했다.
다음달인 11월 연속 인하로 3.0%까지 기준금리를 내렸다.
이번 금통위는 막판까지 인하와 동결 전망이 팽팽하게 맞섰다.
경기 부양 측면에서는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1500원선을 위협하는 원/달러 환율 레벨을 생각하면 연속 인하 부담이 적잖다는 이유에서다.
'동결' 전망의 근거는 여전히 높은 원/달러 환율과 매파적으로 태도를 바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이다.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 물량 출회와 당국의 미세조정(스무딩 오퍼레이션)에도 '강달러' 추세를 바꾸기엔 역부족이었다.
연준의 금리인하 흐름에 급제동이 걸린 것도 한은의 결정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 뉴욕 사무소가 지난 1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10곳 가운데 2곳은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노컷'(금리인하 없음)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의 동결을 예상했던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고용지표 발표 이후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축소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상승했고 한은의 1월 동결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며 "연준의 긴축으로 환율 우려가 높아지면서 한은은 환율을 더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또 "한은이 발표하는 뉴스심리지수가 반등하고 있다"며 "연말 신용카드 사용금액, 배달 결제 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이 과거보다 크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 이전글윤석열 법원에 체포적부심 신청, 늦어도 토요일 오후 석방여부 결론.. 25.01.16
- 다음글헌법재판소, 윤석열 탄핵심판 변론기일 변경 신청 불허.. 25.01.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일본 쌀값 폭등, 농협 국산 쌀 22톤 일본에 수출..…
해울그룹 2025-04-21
-
이재명, 호남을 AI와 미래 모빌리티·금융산업 등 '경…
해울그룹 2025-04-24
-
우리군 정찰위성 발사, 정상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 교신…
해울그룹 2025-04-22
-
가난한 이들의 벗,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21일 …
해울그룹 2025-04-21
-
이재명, 코스피 5000시대 만들겠다..회복과 성장으로…
해울그룹 2025-04-21
-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양…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대선 전 선고'는 …
해울그룹 2025-04-23
-
서울시, 서울도심 발생 싱크홀에 따른 예방 및 대책 마…
해울그룹 2025-04-23
-
특전사 김형기 중령, “‘대통령 지시다, 의원들 끌어내…
해울그룹 2025-04-21
-
한국군 정찰위성, 美 플로리다서 발사..영상레이더 활용…
해울그룹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