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인천시의 새해 숙원사업, 연육교 2개 올해 완공 목표..
페이지 정보
본문
올해 인천에서는 청라~영종 간 제3연육교와 영종~신도 간 신도대교 완공 등 지역 숙원의 대역사 2개가 올해 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다.
그런데 이들 둘 다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은 해상교량들이지만 제때 제대로 개통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한다.
제3연육교는 4.68㎞ 구간의 왕복 6차로로 2020년 12월 착공했으며 투입된 사업비는 약 6천550억원이다.
또한 3.26㎞ 구간 왕복 2차로의 신도대교는 2021년 1월 착공했다.
제3연육교가 들어서면 서울 등 수도권에서 인천공항과 영종도를 찾는 차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신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2026년 1일 평균 교통량이 2만533~4만2천836대에 이르며, 현재 1일 평균 1천여대 규모인 신도 일대 교통량도 8배 이상 늘어 날 전망이다.
또한 수도권의 해양 관광 수요가 신·시·모도 등으로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되며, 개통 초기를 지나 안정화 상태로 돌아가도 1일 평균 5천900대의 차량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막상 준공해도 개통까지는 난관이 많다고 한다.
본공사는 계획대로 진행해 왔지만, 주변 연결도로 등 운영 준비가 따라 주지 않아서다.
신도대교의 경우, 해상교량에서 신도로 진입하는 연결도로 공사를 아직 시작도 못한 상태이며, 도로를 내기 위한 토지 보상조차 아직 마치지 못했다.
전체 3만2천여㎡ 중 8천여㎡에 대한 보상에 발목이 잡혀 있는 상태다.
설령 수용 절차에 착수한다 해도 최소 6개월 이상 소요 될 예정이며, 소송까지 갈 경우 더 늦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연결도로 공사를 위해 1~2년을 잡아야 한다.
뿐만 아니다.
신도 일대의 주차장 확보도 문제다.
신도 일대 주차장은 당초 618면이 목표였지만, 현재 103면 규모의 부지만 확보된 상태다.
제3연육교 운영 주체나 통행료 결정도 시간이 많지 않다.
특히 민간투자사업인 인천·영종대교의 손실보전금 규모를 정해야 통행료가 산출되는데, 국토부와 인천 시간 의견 차이가 커 계속 난항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연육교를 완공하고도 통행료도 채 결정하지 못하는 사태가 우려된다.
섬으로 진입하는 연결도로조차 확보되지 못한 해상교량 건설사업이 인천 시민들이 십수년을 기다려 온 숙원 사업의 현주소다.
수천억원의 인천시의 자산이 투입된 연육교가 바다 위 텅 빈 다리로 남겨질 위기에 처한 것이다.
관계당국은 비상한 다짐으로 이들 과제를 풀어내야 하며, 이는 새해 인천시가 추진하는 사업 역량의 큰 시험대가 될 것이다.
- 이전글철새도래지에 들어설 예정인 새만금국제공항, 조류 충돌 위험성 둘러싼 논란 뜨거워... 25.01.25
- 다음글경기도소방재난본부, 밤사이 폭설로 인한 사건 사고 잇따라... 24.11.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한국군 정찰위성, 美 플로리다서 발사..영상레이더 활용…
해울그룹 2025-04-21
-
가난한 이들의 벗,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21일 …
해울그룹 2025-04-21
-
서울시, 서울도심 발생 싱크홀에 따른 예방 및 대책 마…
해울그룹 2025-04-23
-
특전사 김형기 중령, “‘대통령 지시다, 의원들 끌어내…
해울그룹 2025-04-21
-
일본 쌀값 폭등, 농협 국산 쌀 22톤 일본에 수출..…
해울그룹 2025-04-21
-
이재명, 호남을 AI와 미래 모빌리티·금융산업 등 '경…
해울그룹 2025-04-24
-
이재명,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대선 전 선고'는 …
해울그룹 2025-04-23
-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양…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코스피 5000시대 만들겠다..회복과 성장으로…
해울그룹 2025-04-21
-
우리군 정찰위성 발사, 정상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 교신…
해울그룹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