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의 몰락, 경기침체에 매출 부진 겹쳐..추석 대목에도 곳곳 한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 전통시장의 몰락, 경기침체에 매출 부진 겹쳐..추석 대목에도 곳곳 한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13 22:06

본문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13일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이 명절 특수가 무색하게 매우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13일 서울 서대문구 인왕시장이 명절 특수가 무색하게 매우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추석 대목을 맞아 활기가 돌아야 할 전통시장이 적막할 정도로 조용하다.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몰의 확장 속에 올해는 고물가와 경기 침체 여파까지 겹쳐 손님들이 발걸음이 끊기자 시장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국내 전통시장은 총 1388곳에 달했다.


지난해 말 1408곳이었던 전통시장이 불과 8개월 만에 20곳이나 감소했다.


전통시장이 2022년 1401곳, 2021년 1413곳이었다는 점을 볼 때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전국 대형 전통시장의 공실률도 최근 들어 30%를 넘는 곳이 속출하는 등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978b65a13b08f19d9722223afcc3bcca_1726232772_4427.jpeg
 

매출과 구매 고객 수 전망도 어둡다. 통계청이 발표한 ‘전통시장 부문별 실적 및 전망’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전통시장의 경기 전망 BSI는 88.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7포인트 하락했다.


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로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으면 경기 악화 전망이 경기 호전 전망보다 우세함을 의미한다.


올해 9월 전통시장 매출과 구매 고객 수 전망 또한 각각 90.2, 91.1을 기록하며 3년 만에 가장 낮았다.


전통시장이 사라지고 있는 원인으로 낙후된 시설과 접근성 부족 등이 꼽히지만 최근 급격하게 상승한 물가가 가장 큰 악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aT도매유통정보시스템의 33개 전국 공영 도매시장 평균 경락가격을 분석한 결과 대표 채소류 10종(시금치·무·양파·마늘·당근·오이·배추·대파·풋고추·감자) 중 7종이 지난해 9월에 비해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