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응급실, '셧다운' 조짐..기존 진료환자도 수용불가 전원 요청..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 병원 응급실, '셧다운' 조짐..기존 진료환자도 수용불가 전원 요청..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8-25 06:35

본문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 공백 장기화로 응급의학과 전문의(교수)들의 사직이 잇따르고 있는 와중에 코로나19 환자도 급증하면서 진료 과부하로 인한 '응급실 연쇄 셧다운(운영 중단)'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 증원 사태로 인한 인력 부족이 6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대학병원이 기존에 진료를 받으러 다니던 중증 환자들조차 수용이 어려워 환자들이 다른 병원을 전전하는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중증환자를 치료하는 서울의 B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중환자 진료량이 많고 지방에서 전원 요청도 이어지고 있지만 응급의학과 교수 1명이 응급실을 지키고 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법정 지정기준(응급실 전담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5명 이상)을 크게 밑돈다.


사태 장기화로 외과, 소아청소년과, 내과 등 배후 진료과의 진료량이 폭증한 것도 응급실의 환자 수용이 더 어려워진 주요인 중 하나다.


응급실은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1차적인 검사나 응급 처치에 이어 배후 진료과에 의한 수술·입원 등 최종 치료가 불가능하면 환자를 수용할 수 없다.


여기에 오미크론 하위 변이 바이러스 KP.3가 또다시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면서 코로나19 환자 역시 크게 늘어 응급실의 환자 수용 역량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를 보면 코로나19 표본감시 입원환자 수는 이달 셋째 주 올해 들어 가장 많은 1444명으로, 한 달 전인 7월 셋째 주에 비해 6.4배 증가했다.


코로나19 환자는 응급실 내 음압격리실에서 진료 받아야 한다.


응급실 내 면역력이 저하된 중환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따른 격리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장에 남아있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응급실에 중증 코로나 환자를 대기 시켜 놓고 다른 중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추세는 내달 추석 즈음하여 상황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부가 진찰료 인상을 발표했지만 이는 사태 이전 응급의학과 지원자를 늘리기 위해 취했어야 하는 조치일 뿐이라는게 의료계의 입장이다.


현장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당장 지쳐 쓰러져 죽을 지경인 현 상황에선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것이 의료현장의 소리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