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기재부, 지난해 이어 2년 연속 ‘세수펑크’ 유력 상황
페이지 정보
본문
올들어 6월까지 국세수입이 1년전보다 10조원 덜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세수결손이 지속되며 정부는 이미 조기경보를 울렸지만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세수펑크’가 유력한 상황이다.
3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4년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누계 국세수입은 전년동기 10조원 감소한 168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세수 목표금액 대비 실제로 걷힌 세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진도율도 45.9%에 그쳐 최근 5년간 평균 진도율인 52.6%에 비해 약 7%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세금이 적게 걷힌 데에는 법인세 세수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
기재부에 따르면 법인세 세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6조1000억원 덜 걷힌 3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법인세 진도율도 36.5%로 최근 5년 평균 진도율인 54.5%에 못 미쳤다.
법인세 세수가 준 것은 지난해 기업실적이 저조했던 탓이다.
올해 법인세는 지난해 기업의 영업이익으로 과세하는데, 지난해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 영업이익은 각각 45%, 3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수현 기재부 조세분석과장은 “6월 국세수입은 지난해 기업 실적 저조에 따른 법인세 감소와 종부세 분납분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누계 국세수입은 지난 3월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6월 세수도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지난해에 이어 2년연속 세수결손이 발생할 것이 확실시된다.
작년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56조 4000억의 세수펑크가 발생한 바 있다.
정부는 지난 5월 이미 세수결손 조기경보를 발령했다.
5월 기준 세수 진도율이 최근 5년 평균과 비교해 5%포인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세제당국은 조기경보를 공식화하게 되는데, 지난 5월 진도율은 41.1%로 최근 5년 평균 진도율(47.0%)를 5.9%포인트 밑돌았다.
정부는 2년 연속 세수결손이 가시화한 만큼 7∼8월 국세 수입을 검토한 후 재추계 결과 발표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윤수현 기재부 조세분석과장은 “올해에도 지난해처럼 선제적 대응 방식을 두고 검토하고 있다”면서 “결손 규모가 크다면 지난해처럼 재추계 결과를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이전글국회, 야권이 발의한 이진숙 탄핵소추안 표결.. 24.08.02
- 다음글민주당 이재명 제안, 전국민 25만원 지원법 법사위 통과.. 24.07.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서울시, 서울도심 발생 싱크홀에 따른 예방 및 대책 마…
해울그룹 2025-04-23
-
일본 쌀값 폭등, 농협 국산 쌀 22톤 일본에 수출..…
해울그룹 2025-04-21
-
우리군 정찰위성 발사, 정상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 교신…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호남을 AI와 미래 모빌리티·금융산업 등 '경…
해울그룹 2025-04-24
-
특전사 김형기 중령, “‘대통령 지시다, 의원들 끌어내…
해울그룹 2025-04-21
-
이재명, 코스피 5000시대 만들겠다..회복과 성장으로…
해울그룹 2025-04-21
-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양…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대선 전 선고'는 …
해울그룹 2025-04-23
-
가난한 이들의 벗,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21일 …
해울그룹 2025-04-21
-
한국군 정찰위성, 美 플로리다서 발사..영상레이더 활용…
해울그룹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