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통계청, 제조업 생산 18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하고 출하도 급감..
페이지 정보
본문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제조업 생산지수(원지수·2020년=100)는 103.7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2% 감소했다.
감소 폭은 2023년 7월(-6.6%)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컸다.
특히 자동차(-14.4%), 1차금속(-11.4%), 기계장비(-7.5%) 등 업종에서 생산 감소가 두드러졌다.
연초 제조업 생산은 전월과 비교해도 부진한 모습이다.
정부는 1월 이른 설 연휴와 연말 물량 '밀어내기'로 전월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요 산업에서 생산 감소가 단순히 일시적 요인이 아니라, 경기 성장세 둔화와 연관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계절조정 1월 제조업 생산지수는 111.6으로 전월보다 2.4% 줄었다.
기타운송장비(2.8%), 의약품(2.1%) 등 생산이 늘었으나 기계장비(-7.7%)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
생산이 줄면서 제품 출하까지 감소세를 보였다.
1월 제조업 제품 출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7.4% 감소했다. 2023년 1월 9.2% 감소한 이래 2년 만에 최대 폭 감소했다.
자체 생산한 제품을 국내 판매업자 등에 판매하는 내수 출하는 11.8% 줄었으며, 외국에 판매하는 수출 출하는 1.2% 감소했다.
전월과 비교해도 제조업 출하는 6.2% 감소했다.
내수 출하가 한 달 전보다 2.4% 줄었으며 수출 출하도 전달보다 10.3% 급감했다.
이런 분위기는 국내 기업들의 투자·생산 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조업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하락세를 보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2월 한국 제조업 PMI는 49.9로 전월(50.3)보다 소폭 하락했다. PMI 지수가 50 미만이면 전달보다 전반적으로 감소했다는 의미다.
제조업 생산과 판매가 증가하긴 했지만 증가 폭은 미미한 수준에 그쳤으며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 경제의 뿌리인 제조업의 성장세 둔화는 올해 경제 전망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 집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년째 3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최근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제조업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며 정부가 경쟁국 수준의 산업 지원 방안, 국내 생산 촉진을 위한 세제 도입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이전글신박한 산수셈법을 이유로 석방된 내란수괴, 헌법재판소의 판단은? 25.03.09
- 다음글윤석열 석방 파장, 헌재의 탄핵심판 결과는 인용될까? 기각될까? 25.03.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 월드IT쇼 역대 최다 2억…
해울그룹 2025-04-28
-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산불 발생..산림당국 대응…
해울그룹 2025-04-28
-
환경부, 꽃사슴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농작물 피해 및 …
해울그룹 2025-04-28
-
대구 함지산 산불 강풍에 확산하면서 대응3단계 격상..
해울그룹 2025-04-28
-
청주시 소재 고등학교에서 10대 지적장애인 흉기 들고 …
해울그룹 2025-04-28
-
인천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서 맨발 걷기 하던 70대 여…
해울그룹 2025-04-28
-
서울시버스노조조합원들 파업 찬성, 시내버스 30일 멈출…
해울그룹 2025-04-28
-
경찰, 한덕수 직권남용 혐의로 수사 착수..헌법재판관 …
해울그룹 2025-04-28
-
러, 내달 8∼10일 전승절 80주년 기념 휴전 선언.…
해울그룹 2025-04-28
-
경기도, 대북전단 기습 살포한 납북자 가족단체 수사 착…
해울그룹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