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환율과 유가 상승으로 들썩이는 생활 물가..스테그플레이션 우려까지..
페이지 정보
본문
고환율과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생활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개월 연속 2%대 오름세를 기록했다.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와 국내 정책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스태그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 우려까지 나온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1월(2.2%)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6%, 10월 1.3%, 11월 1.5%, 12월 1.9%로 점진적인 오름세를 보이다 올해 2%대에 진입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고환율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며 2%대로 올라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오른 주요 원인으로는 유가·환율 상승이 꼽힌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 중후반까지 치솟았다.
이는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5.22다.
지난해 12월보다 2.3% 올랐다.
지난 10월 2.1% 상승한 이후 4개월 연속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유가나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은 소비재 가격 상승을 통해 즉각적으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중간재, 자본재 등의 수입물가 상승 역시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물가는 오르는데 성장은 더디다.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들은 암울한 한국 경제의 위기 상황을 보여준다.
지난해 국내 경제성장률은 2%에 그쳤다.
4분기 성장률은 전망치 0.5%를 크게 밑돈 0.1%를 기록했다.
올해 전망은 더욱 어둡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11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낮췄다.
한은도 지난달 25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대폭 내려 잡았다.
JP모건, 씨티, 골드만삭스, UBS 등 해외 투자은행(IB)의 예측 수치도 1.2~1.9%로 비관적이다.
- 이전글국제유가 큰 폭 하락, 주요 산유국 증산 방침과 미국의 대(對)러시아 제재 완화.. 25.03.08
- 다음글한국경제, 극도의 위기감에 내몰린 기업들..기업 96.9%가 경제위기 예감.. 25.03.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특전사 김형기 중령, “‘대통령 지시다, 의원들 끌어내…
해울그룹 2025-04-21
-
서울시, 서울도심 발생 싱크홀에 따른 예방 및 대책 마…
해울그룹 2025-04-23
-
이재명, 호남을 AI와 미래 모빌리티·금융산업 등 '경…
해울그룹 2025-04-24
-
일본 쌀값 폭등, 농협 국산 쌀 22톤 일본에 수출..…
해울그룹 2025-04-21
-
한국군 정찰위성, 美 플로리다서 발사..영상레이더 활용…
해울그룹 2025-04-21
-
우리군 정찰위성 발사, 정상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 교신…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코스피 5000시대 만들겠다..회복과 성장으로…
해울그룹 2025-04-21
-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양…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대선 전 선고'는 …
해울그룹 2025-04-23
-
가난한 이들의 벗,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21일 …
해울그룹 2025-04-21